1학기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06. 인간정신발달이론 - 안나프로이드의 방어기제의 종류와 단계별 특징 안나 프로이트가 이야기한 방어기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내가 어떤 일을 받아들임에 있어 어떠한 반응을 보일 때 나는 왜 이렇게 행동하는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으며, 내가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어떤 것인지 알아보면 더 좋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연애를 하는 상대방이 갈등 상황에서, 다툼 상황에서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를 알면 그 사람을 더욱 잘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미성숙의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신경증적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를 알고 접근할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수준1. 병리적 방어기제((pathological defense mechanism) 1. 전환(Conversion) 의식에서 거부된 정신 내용이 신체 현상으로 변화되는 과정 - 이때 나타나는 신체 현상들은 상징.. 08. 인구 오너스(demographic onus) 시대, 중국의 고령화와 특징 '인구 오너스(demographic onus)' '인구 오너스(demographic onus)'란 생산가능 인구(15~64세)가 줄면서 경제 성장이 지체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반대 의미를 가진 단어는 '인구 보너스(demographic bonus)'로 생산연령 인구가 증가해 노동력과 소비를 견인하는 현상을 뜻한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인구오너스 시대에 진입한 중국. 한국은 2017년에 진입하였고 인구오너스 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고령화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은 1가구 1자녀 정책을 다들 알고 있을 것이다. 중국은 너무 빨리 너무 깊이 저출산 시대로 진입하였다. 1978년 시작된 계획생육(計劃生育) 즉, 산아제한정책이다.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인해.. 07. 실버산업경영의 이해 - 스웨덴과 베트남 고령사회 스웨덴 65세 이상 인구 약 201만 명(2017년 기준)으로 전체의 20.3%를 차지하고 있는 스웨덴. 현재 스웨덴의 공식 정년연령은 65세로 정년이 시작되는 65세부터 실버세대로 간주합니다. 스웨덴의 기본적인 복지는 국가가 책임져주기 때문에 매달 정부에서 지급되는 연금은 좀 더 풍성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개인 소비용품에 대한 지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기 실버 제품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58687&searchNationCd=101024 불러오는 중입니다... 게임하는 실버세대 : silver snipers https://youtu.be/.. 06. 실버산업경영의 이해 - 미국 사례분석 은퇴라는 단어를 은퇴시킨 뉴실버 공연장을 뒤흔든 베이비 붐 세대 * 빌리 조엘(57) 공연 매진 : 모든 시니어층을 겨냥한 매스 마켓 * 미국 산업 지형도를 뒤흔들고 있는 뉴실버 * 화장품 회사 레볼론 Vital Radiance 출시, 광고모델로 수전 서랜드(59) 기용 - 50대 여자를 타깃으로 하였다 WHO 고령친화도시 건설을 위한 지침 개발, World’s Age Friendly Cities Guideline 발표 - 노인복지정책 모토 Aging in Place(내가 태어난 곳에서 내 이웃, 가족과 같이 살고싶다 - 커뮤니티케어와 비슷한 맥락) - 세계각지에서 만개하는 노인 친화 도시 실험 “ 세금 내고 소비하는 노인이 젊은 층 일자리를 만든다" WHO 선정 첫번째 친고령도시는 뉴욕이다. 미국의 고.. 05. 일본 실버산업의 현황 일본은 약 40~50년 전인 1960년부터 정부에서 나서서 고령사회에 대한 플랜을 진행하고 계속 제도적 수정을 거쳐 진행 중이다. 정부가 견인차 역할을 하여 노인복지 로드맵을 계속적으로 마련하였다. 1) 골드플랜(1990년~1999년) 2) 신골드플랜(1995년) 3) 골드플랜21(2000년 ~ 2004년) & 개호보험실시 골드플랜으로 노인복지와 '고령화 산업' 육성을 동시에 추진하였다. 후생성 [실버서비스 진흥지도실]을 설치(1985년)하고 사단법인 [실버서비스 진흥화]를 설립하였다.(1987년) 1993년 법/제도 정비로 복지용구실용화 개발비용을 지원하고, 2004년 4월 공적 개호보험제도를 실시한 이후 특히 요양 및 용품 기기 산업이 급성장하였다. 2006년 4월 개호보험제도를 개혁하여 경증 요양대.. 04. 공감의 발달 단계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하여 공감의 발달 단계 마틴 호프만의 공감의 발달 4단계 :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읽고 자신의 감정을 그것에 조화시키는 능력이다. 1단계(~생후 12개월) : 전체적 공감 수준 - 이 시기의 영아들은 아직 자신과 타인을 잘 분별하지는 못하지만, 어른의 행동을 따라 하는 등 모방 능력을 보임 - 다른 아기가 울고 있으면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도 따라 우는 것 2단계(생후 12~18개월) 자기중심적 공감 수준 - 자기(self)가 타인과 분명히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함 - 다른 사람의 고통에 자신도 고통을 느끼지만 내게 위안이 되었던 방법으로 상대방을 위로함 - 다른 아이가 다쳐서 우는 것을 보면 슬퍼하고 자신의 엄마나 아빠를 데리고 오는 행동을 보이는 것 - 호프만은 대부분 공감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04. 일본의 고령화사회의 분석으로 본 한국의 고령화와 시사점 우리나라보다 더 빨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의 사례를 분석해보고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나는 이 수업을 듣고 한참 후에 책을 한 권 읽었는데 일본에게 보내는 경고라는 제목의 다소 자극적인 책 제목에 끌려 구매를 했다. 이 수업으로 인해 일본에게 보내는 경고의 메시지들이 좀 더 크게 와 닿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든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815019 짐 로저스의 일본에 보내는 경고 짐 로저스 최신작!이대로라면 일본은 반드시 망하게 되어있다!일본을 잘 알고 선제적으로 투자하던 그가 2018년 가을 일본 주식을 모두 팔고, 일본에 대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짐 로저스가 일본 경제의 추락은 물.. 05. 프로이드 이후 _인간정신발달이론-자아(Ego)심리학 경영대학원 수업 중 방어기제를 좀 심도 있고 깊게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팀티칭인데 나는 이론 쪽 수업이 조금 더 마음에 들었다. 역사는 별로 재미있지 않았는데 흐름을 알고, 학자마다 어떤 생각을 했는지, 왜 그에 반하는 이론들이 출현했는지를 이해하면서 알아가면 더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다. 서른 중반을 다가서는 나이에 공부가 재미있는 것은 참 신기하다. 모든 공부에도 때가 있다더니 딱 그 말이 맞는 것 같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후 자아 심리학이 태동하게 된 이유부터 시작하도록 하겠다. 1. 프로이트 이후 자아심리학 태동하게 된 이유 프로이트 때는 이드(di)를 강조한 추동 이론이 주를 이루었지만 점차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자아심리학자들이 인간의 성격은 이드못지않게 중요한 게 자아이며, 자아는 평생을..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