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학기/(완)실버산업과 경영

06. 실버산업경영의 이해 - 미국 사례분석

은퇴라는 단어를 은퇴시킨 뉴실버

시니어 모델로 활약중인 김칠두 최순화

공연장을 뒤흔든 베이비 붐 세대

* 빌리 조엘(57) 공연 매진 : 모든 시니어층을 겨냥한 매스 마켓
* 미국 산업 지형도를 뒤흔들고 있는 뉴실버
* 화장품 회사 레볼론 Vital Radiance 출시, 광고모델로 수전 서랜드(59) 기용 - 50대 여자를 타깃으로 하였다

WHO 고령친화도시 건설을 위한 지침 개발, World’s Age Friendly Cities Guideline 발표
- 노인복지정책 모토 Aging in Place(내가 태어난 곳에서 내 이웃, 가족과 같이 살고싶다 - 커뮤니티케어와 비슷한 맥락)
 - 세계각지에서 만개하는 노인 친화 도시 실험 “ 세금 내고 소비하는 노인이 젊은 층 일자리를 만든다"

WHO 선정 첫번째 친고령도시는 뉴욕이다.


미국의 고령화 동향

인구문제에 관한 한 ‘고요의 섬(an Island of Tranquility)’ 세대차와 인종차가 커지는 미국

- 미국 65세 이상 인구, 중국과 인도 다음으로 많고 85세 이상 초고령인구는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 베이비 부머의 규모가 세계에서 가장 크며 이들의 고령화와 은퇴는 이미 시작되었다.
- 1968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폴 얼리히 인구폭탄(The Population Bomb) - 예상을 빗나간 대표적 사례
- 성격이 다른 인구문제 – 내파(implosion)형 인구폭탄(저출산 인구감소 & 고령화 문제), 예: 일본 및 유럽 등
- 반면 미국은 다음세기 중윗값 연령 39세의 젊은 인구구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는 미국으로 젊은 이민자들이 끊임없이 유입되고 이들을 포함 젊은 세대의 출산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짐 로저스의 저서에서도 일본이 고령화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민자를 수용하라는 내용이 있다.)
- 매우 점진적이고 완만한 속도의 고령화 진전으로 첨예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 다른 선진국에 비해 더 높은 출산률과 기대수명의 완만한 증가 때문이다.

cf) 비교해 보자면 프랑스는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화 사회까지 도달하는데 115년이 걸렸다. 미국은 약 94년으로 예상된다.


미국 초고령인구와 8천만명에 달하는 베이비 부머에 대한 정책

미국 노인정책의 3대 축 - 이미지 출처 : 구글

1970년대부터 정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 소셜 시큐리티(Social Security)

- 한국 국민연금에 해당, 핵심 은퇴플랜의 기능
- 1932년 뉴딜정책 일환으로 소셜 보험(Social Insurance) 제안 
-> 노인, 장애인, 빈곤층 소득보장을 목적으로 1935년 제정된 Social Security Act를 통해 시행됨

2) 메디케어(Medicare) & 메디케이드(Medicaid)

- 메디케어 : 65세 이상 시니어, 장애인(일정 자격 갖춘 경우)에게 제공되는 노년층을 위한 건강보험 -> 5,500만 명(2015)
- 메디케이드 :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장적 성격이 강한 의료보호 제도 -> 7,100만 명(2015년)
* 2010년 3월. 의료보험관련법(PPACA-우리가 알고 있는 오바마법)으로 600만 명 확대

3) 미국 노인법(OAA)

- 시니어 정책과 프로그램 시행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됨
- 다양한 수혜자 : 60세 이상 노인으로 약 3백만명(여성, 독거노인, 저학력&저소득층, 흑인이 높은 빈도를 보임)
- 주목받는 제도적 지원방향 : 가정돌봄 서비스 프로그램


2015 년 미국 노인을 지원하는 노인 및 전문가에게 묻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출처 : UnitedHealthcare)

위 이미지를 보면 약 58%의 응답자가 현재 거주지에서 20년 이상을 거주하였으며 75%는 현재 거주지에서 여생을 보내길 희망한다. 62% 응답자는 현재 거주여건에 대한 개조, 개선 지원 서비스를 받기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 노년층의 생활과 의식

노년층(60세 이상 1,650명) 전화인터뷰 & 고령 지원분야 전문가(고령자 정책, 금융, 의료분야 전문가 등) 조사 결과 비교

1) 고령화에 대한 가장 심각한 문제
- 1. 육체적 건강 유지, 2. 기억력감퇴, 3. 정신적 건강 유지 순서 응답
- 안전과 보호(금융사기 등), 주거안정, 기억력감퇴 순서

2) 노후의 안정적 생활을 위한 준비방편
- 공통 : 본인 저축, 정부예산 통한 지원
- 절약과 검소한 생활 / 주거비절감과 퇴직연령 늦추기

3) 노년층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역할
- 긍정적 응답 : 당사자 그룹 47%, 전문가 그룹 37%

4) 주거 (주거를 굉장히 중요하게 여김)
- 주거여건은 생활반경이 제한되고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필요한 노인층에게는 삶의 질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변수임

지난 2015년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 고령화 콘퍼런스에서 첫 번째는 돌봄, 두 번째는 인프라 구축, 세 번째는 지역사회의 도움을 이야기하였다.


미국의 고령화와 재활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

@ 요양원보다 각 가정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가정용 재활 의료기기 수요 증가
- 미국 내 65세 이상 인구수가 가장 높은 플로리다주 (올랜도 Sumter County 인구의 52.39%가 65세 이상)
요양시설 이용률이 가장 적은 이유는 가정용 재활 의료기기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 각 가정의 비용 부담을 감소 –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HME(Home Medical Equipment: 가정용 재활
의료기기)의 보험 부담금(insurance coverage)을 점진적으로 늘이고 있는 추세

@ 재활 의료기기 기술력의 발전 – 심혈계 질환 측정용 무선 모니터 등 원격 측정기(Telemetry)를 이용해 집에서 건강 상태를 모니터하고 주치의에게 직접 전달되는 HME의 보급이 확산
@ 가정용 재활 의료기기 사용은 병원이나 요양원의 장기입원으로 인한 지출 비용 절감 및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재활의료 시장 278억 달러(2015년)  2020년 443억 달러 수준 성장 예상(연 9.7% 성장률)


대표적 시니어복합문화공간 “Mather cafe plus”

https://www.mather.com/

 

Ways to Age Well | Mather

Welcome to Mather Today’s older adults are redefining life after 50 with a renewed emphasis on the things that matter most. And we’re right alongside them on the journey to what’s next, turning ordinary moments into extraordinary ones. Mather is creating W

www.mather.com

미국의 대표적인 시니어복합문화공간인 매더카페플러스는 단순한 카페가 아닌 개인과 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만드는 시니어와 중장년층의 복합적인 문화 공간으로 생각하면 된다. 우리나라는 송파의 실벗뜨락, 청춘카페, 서울시50플러스캠퍼스, 락희거리(시니어층의 즐겁고 기쁜거리), 춘천의 추억의 옛 다방, 대구의 태평살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