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학기/(완)조직행동론

(11)
03. 태도와 직무만족 흔히 조직에서 이렇게 말한다 '저 사람 태도가 왜 저래? 혹은 저 사람 행동이 왜 저래?' 태도와 행동을 같이 바라보지만 학문적으로는 태도와 행동은 구분이 된다. - 태도가 좋으면 행동이 좋다.(통상적으로는 일치한다.) - 태도는 좋은데 행동이 좋지 않다. - 태도는 안 좋은데 행동은 좋다.(즉, 싫은데도 하는 것. 스트레스받으면서, 일은 좋아하지 않지만 성과가 좋은 사람) 이 두 가지를 인지적 부조화라고 한다. 서양에서는 태도와 행동이 일치한다는 견해로 보는 경향이 있지만, 아시아권은 조금 다르다는 것. 요즘 조직행동론의 흐름 중 하나는 태도가 안 좋은데 행동이 좋게 나가는 것을 심리적인 요소와 정신건강적 요소로 접근하는 견해들이 있고 논문 주제로 연구되고 있다. 참고로 노동부 사이트에 우리나라 근로자..
02. 조직의 다양성과 고정관념 조직행동론은 전반부에는 개인의 특성, 개인의 속성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 요소별로 나눠서 볼 수 있다. Input의 요소, Process의 요소, Output으로 나눠 볼 수 있다. Input의 요소는 개인이 노력한다고 해서 바뀌지 않는 것이다. 조직의 지속 가능성, 조직의 발전의 개념으로 바라보고 있는 이 교과서의 저자의 입장에서 조직의 다양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조직의 다양성의 두 가지 주요 형태 1. 표면적 다양성 : 눈으로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것이다.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표면적 다양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저 사람은 여자야. 저 사람은 백인이야 하는 것처럼 예측 가능한 정보 들이다. 성별, 인종, 국적, 나이 등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표면적 다양성이라고 하며 사람의..
01. 조직행동이란 무엇인가? 직장에서 내부CS교육을 진행하면서 조직행동론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특히 교육을 하다보면 고객을 어떤 눈으로 바라볼 것인지, 나의 직장 상사와 동료를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도 들어가 있다. 사회생활은 해도해도 익숙해지지 않는 것 같고, 또라이 질량 보존의 법칙이란 단어가 나올만큼 사람을 이해하는 학문은 어렵고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교육자료에서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검사들 중 DISC검사, MBTI검사 등이 있는데 모두 다 100퍼센트 맞아 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본인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남은 왜 저렇게 행동할까에 대해서 아주 미미하게나마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강의자료에서 사용하고 있다. 김양균교수님의 조직행동론은 원론적인 강의라기 보다 흐름을 잘 설명해주시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