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학기/(완)비지니스모델과 조직관리

(12)
04.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1) - 고객세분화(Customer Segment) 내 비즈니스에 고객을 찾는 방법 - 고객 세분화(Customer Segment)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그리는 9가지 영역 중 첫 번째 고객 세분화에 대해 먼저 공부해 보도록 하겠다. 고객군에는 내가 어떤 고객을 만날 것인지, 누구를 위해서 이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서비스를 할 것인지에 대해서를 결정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마켓 세그먼트(market segment), 커스터머 세그먼테이션(customer segmantion), 타깃 고객층, 주요 고객층, 이런 이야기들이 섞여 있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고객을 세분화 한다? 누구를 위해서? 나의 비즈니스는 누구를 위해서 일을 할 것인지, 나에게 가장 중요한 고객이 누구인지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페르소나 기법을 사용하여 가상의 고객을 만들어보자 가령 ‘요가..
0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정의와 역할에 관하여 이 수업은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가 무엇이고, 이 캔버스를 실제 나의 비즈니스가 있다면 그려보고, 없다면 다른 어떤 비즈니스를 분석해서 캔버스를 구체적으로 그려보는 것, 이도 아니면 내가 하고 싶은 비즈니스를 모델 캔버스를 그려보는 과제로 마무리된다. 수업이 한 시간 한 시간 끝날 때마다 교수님이 이야기해 주신 새로운 비즈니스, 그리고 구체적으로 비즈니스가 커지는 과정들, 가장 중요한 비즈니스의 몰락의 과정을 들으면서 사업을 구상할 때 막연하게 이 사업을 하고 싶다가 아닌, 샘솟는 아이디어에 수정보안을 하는 절차들을 캔버스 한 장으로 그려낼 수 있어 나중에 사업모델을 짤 때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란 무엇이고 이 캔버스는 누구에게 필요할까?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고..
02. 비즈니스와 매니지먼트의 이해_Background for Smart Society & IT의 역할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알아보기에 앞서 산업의 발전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발전하여 지금까지 왔는지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경영학회에 대한 배경적 지식 조직관리, 조직경영, 매니지먼트라는 학문의 역사는 약 100년 정도라고 한다. '경영'이라는 것에 관한 학문의 처음 시작은 - Management에서 시작하였다. 경영학이라는 행정의 역사는 오래되었는데, 돈을 벌기 위한 행정이나 조직, 사람들이 모여서 체계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하여 'business administration'이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경영은 '비즈니스를 잘해보자!'가 아니고 '경영(Management)을 잘해보자!'의 개념으로 시작하였다. 한국은 인사조직 학회, 해외에서는 경영(Management) 학회의..
01.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TOP50 [2017년과 2018년을 돌아보다] https://www.fastcompany.com/ 이 수업은 이번 학기 수업 중 가장 흥미롭고 재미있는 수업인데, 새롭고 신기한 비즈니스 모델들을 소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보는 수업이다. 위에 올려준 사진은 fastcompany.com 라는 사이트인데 각 기업의 최신 경영 관리, 돈 버는 사업을 알리는 사이트이며 비즈니스나 매니지먼트 분야의 최신 소식 매거진이라고 볼 수 있다. 매년 교수님이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을 리뷰하는데 한해 한해를 거듭할수록 바뀌는 속도를 따라가기 힘들 정도라고 한다. 세상이 얼마나 빠르게 바뀌는지, 작년에 흥한 기업이 올해는 망할 수도 있다는 것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또 2019년 부터는 most inovated design award가 생긴 것을 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