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학기/(완)실버산업과 경영

(10)
02. 실버산업 변천과정 - 한국의 실버산업 보건복지분야 주요정책을 중심으로 지난 글에는 실버산업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 글에는 한국 실버산업의 현주소 및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한국의 실버사업은 노하우와 정보 부족으로 인해 체계적 육성정책이 미비한 실정이다. 한마디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것이다. 큰 두갈래로 나누어 보도록 하겠다. 한국의 실버산업 - 보건분야 주요 정책 한국의 실버산업의 두 가지 큰 틀을 볼 때 보건분야 주요 정책과 복지분야 주요 정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보건분야에서 빠지지 않는 문케어이다. 문재인케어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을 발표하여 2022년까지 30조 6,000억 원을 들여 미용, 성형 등을 제외한 모든 의학적 비급여의 급여화를 이루겠다는 것이다. 문케어의 핵심은 첫 번째, 치료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01. 실버산업 동향 및 개요 대학원에서 실버산업에 대한 강의를 듣기 전까지는 실버산업에 대해서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다. 하지만 가장 가까운 곳에서 내가 근무하는 병원의 주 타깃이 바로 실버세대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고령화에 대해 심각성을 한 번도 심도 있게 생각해 본 적 없기에 이 수업은 매우 유익했으며, MBA를 배우는 학생의 입장에서 실버세대를 바라보는 관점과, 나의 노년을 미리 생각해 보게 되는 관점, 그리고 이미 실버세대에 속하는 나의 부모님을 생각하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세 가지의 시선을 갖게 되었다. 이 강의는 1학기때 들었던 강의 내용을 리뷰하겠다. 장수 경제(Iongevity economy)와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를 합쳐 실버산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미국의 장수 경제 규모는 7.1조 달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