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내부경영/병원교육자료

치과에 오는 노인환자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전환 교육자료

동글박사 2020. 3. 11. 12:37

http://www.dentalarir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4071

 

 특수하면서도 고가의 진료였던 '임플란트'가 보편화 되고 급여화(만 65세 이상, 2개)됨으로 인하여 치과에서는 고령의 환자가 꾸준히 늘고있다. 또한 주목해야할 점은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며 인간의 물리적 수명이 길어짐으로 인해 고연령층의 환자들이 치아관리를 위해 치과를 찾는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치과를 찾는 노인인구의 가치가 치과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지 적극적으로 생각해보아야 한다. 몇 년 전만해도 치료하지 않을 것 같은 치아를 스스로 치과에 방문해 적극적으로 치료를 요청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고령사회 변화의 흐름과 더불어 근로자의 노인환자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해 이미 과포회된 레드오션인 치과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자료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읽고 '新고령세대'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모든 치과종사자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면 좋겠다. 

 노인의 사전적 정의는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을 말한다. 여기서 '늙음'은 어떤 기준일까 생각해보면 매우 막연하고 애매하다. 다양한 환자를 만나는 치과근로자는 노인에 대한 정의를 나이로 판단할 수도 있고 외적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치과근로자들은 전생에기에 걸친 다양한 환자들을 만나고 응대하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그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고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접근해야 한다.

 

 


 

part1. 노인의 다양한 개념과 정의

 

장수경제(longevity economy) +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미국의 장수경제 규모는 7.1조 달러로 5045% 증가전망(Forrester Research, 2016최고령 층의 노인인구와 55이상의 중년, 그 사이의 세대를 새롭게 재정의 함(유한킴벌리 Creating Shared Value, CSV)

사례 - 유한킴벌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7112609385845351&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고령화는 또다른 기회…'공유가치' 창출 유한킴벌리 - 머니투데이 뉴스

#공공공간(000간)은 시니어(노령층) 제작자와 젊은 사업가가 협력해 공유가치를 창출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유한킴벌리의 ‘시니어 소기업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탄생한 공공공간은 지역 시니어 제작...

news.mt.co.kr

 

노인의 정의는 학술적 정의, 조작적 정의, 법률적 정의, 사회적 정의, 산업적 정의, 마지막으로 소개할 UN의 새로운 연령구분이 있다.

https://en.brilio.net/news/65-years-old-is-still-young-65-years-old-is-still-young-1601205.html

 

65 Years old is still young!

How old is old?

en.brilio.net

 

part2. 한국의 고령화 동향

 

 

part3. 실버산업 분류

 실버산업은 실버계층을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과 관련된 하나의 산업영역인데 고령자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익을 증진하는 산업이다. 노화로 발생하는 노년기의 독립성 훼손을 저하(예방) 또는 제거하여 신체적 및 자립도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말한다. 한국의 고령친화산업은 세부분야로 나눠져 있긴 하나 하나의 컨트롤 타워가 아닌 여러 지자체별로 사업을 별도로 벌이고 있어 분류체계도 혼란스럽고 정부의 산업 지원도 뿔뿔이 흩어져 있다. 

○ 참고링크 : http://gstc.or.kr/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gstc.or.kr

 

part4. 新고령세대

 

베이비부머 세대는 기존 수동적 실버세대와 다른 액티브시니어로 불리우며 적극적인 소비의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영위하는 특징을 보여 향후 고령친화 산업 발전의 견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는 소비층이다.

 


 

바뀌고 있는 연령 패러다임

2개월 만에 20만 구독자를 모은 밀라논나는 한국의 첫 밀라노 유학생이다. 패션 노하우, 인생 경험 및 지혜를 전 세대와 나누면서 세대를 초월한 인기몰이이다. 또 대법관 출신인 박일환씨는 2012년 대법관 퇴관 후 생활밀착형 법률 꿀팁을 전하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중이며 인생2막을 새롭게 열었다.

이처럼 실버세대는 변화하고 있고 이제 고령자들도 취업에 대한 욕구 등 사회에 대한 고령층의 자세는 더욱 변혁적이고 진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맞게 적절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고령의 노인들이 치아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노화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까지도 저하된다. 음식을 씹는 과정을 통해서 뇌 또한 자극되는데, 치아가 없어 씹는 기능이 떨어지면 뇌세포 자극까지도 저하되고 결국 뇌 혈류량의 저하로 이어져 두되 노화가 촉진된다. 또한 구강 건강이 나쁘면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식습관 변화로 영양 불균형이 초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치아가 이미 많이 결손되어 있거나 망가지기 쉬운 노인 시기에 접어든 경우 더욱 절실하다. 따라서 임플란트나 틀니를 한 이후에도 치과에서 정기적인 구강관리를 통해 치아 상태를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100세 시대를 행복하게 맞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씹는 즐거움을 오래 느낄 수 있도록 치아 건강을 지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학 및 의료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령(old age)”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노인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이 이루어지고 사회생활을 하는 생산가능인구의 기준 자체가 변화하려는 지금 우리는 이미 포화된 레드오션 시장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치과진료의 스펙트럼을 더 넓혀 접근할 필요가 있다.